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경제 용어

주가순자산비율 PBR이란? | PBR 계산 방법

by moneynme 2023. 12. 9.
반응형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주가를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투자자에게 기업 가치와 주가의 관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PBR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 PBR이란?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를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기업의 현재 주가가 순자산 대비 얼마나 저평가되었는지 보여주며,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PBR은 가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는 지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BR 계산 방법

PBR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계산됩니다.

                    주가   

PBR = -----------------

             주당순자산가치

여기서, 

*주가(Price) : 현재 기업의 주가입니다. 

*주당순자산가치(Book Value per Share) :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기업의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의 순 가치를 의미합니다. 

 

PBR의 중요성

1. 저평가와 고평가 판단

PBR이 1보다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다고 간주될 수 있고, 1보다 높으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간주됩니다. 

 

2. 가치 투자 여부 결정

PBR은 가치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3. 산업 간 비교

PBR은 산업 간에 기업의 가치를 비교하는 데에도 활용되며, 비슷한 산업에 속한 기업들 간에 상대적인 가치를 측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BR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기업의 성장성

성장 기업은 미래 이익을 반영하여 주가가 순자산 대비 높을 수 있습니다. 

 

2. 산업 특성

투자자들은 산업에 따라 PBR의 적정 수준이 다르다고 여기기도 합니다. 

 

3. 이익 안정성

안정적인 이익을 보이는 기업은 주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PBR을 상승시킵니다. 

 

4. 경제 여건

경제가 침체할 때,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면 PBR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BR은 기업의 주가와 순자산 간의 관계를 나타내어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BR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매수할 기회를 찾거나 특정 산업 내에서 상대적인 가치를 비교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상 주의해야 할 것은 PBR만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표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반응형